경계선지능아동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는 과잉행동장애(ADHD), 정서불안장애 등으로 인해 상담과 치료가 필요한 아동들을 위한 전문적인 복지 서비스입니다. 이 글에서는 경계선지능아동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의 주요 내용을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계선지능아동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란?
경계선지능아동에 특화된 자립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아동의 자립능력을 향상시키고,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양질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아동복지법 제38조(자립지원)를 근거로 하며, 이를 통해 아동의 건강한 발달과 성장을 지원합니다.
2. 지원조건
■ 지원대상
- 종합심리검사 결과 경계선지능아동으로 진단받은 아동복지시설 보호아동
- 가정위탁아동 중 종합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된 자
-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 보호 중인 경계선지능아동
3. 지원내용
■ 서비스 기간 및 횟수
- 기간: 1년 (연속지원 가능)
- 서비스 회기: 아동 1인당 최대 50회기
- 시설 내 자체서비스 외 전문기관 등 외부서비스 연계 가능
■ 주요 프로그램 영역
① 인지학습 영역
- 종합심리검사 부족 영역에 대한 인지학습 매뉴얼 활용
- 보드게임 등 놀이와 병합 가능한 활동
- 일상생활문제에 대한 집중적 개입
② 사회성 영역
- 대인관계기술 향상을 위한 개별/모둠 활동
- 학교생활 적응 지원
- 또래관계 형성 프로그램
③ 정서 영역
- 우울, 불안, 분노, ADHD 관련 개입
- 개별 및 집단 상담 제공
- 감정조절 능력 향상 프로그램
④ 자립 영역
- 진로탐색: 직업체험, 진로상담, 직업훈련 등
- 성교육: 맞춤형 성교육 및 성인지 교육
- 돈 관리: 경제관념 형성 및 금전관리 교육
- 자립여행: 계획부터 실행까지 주도적 참여
- 사회인지 프로그램: 사회적 상황 대처능력 향상
⑤ 학업취업 지원 프로그램
- 학업 지원: 학원비, 교재비, 학습 멘토링 제공
- 대학 진학 준비: 진로 컨설팅, 대학탐방, 진학준비 지원
- 취업 지원: 자격증 취득 지원, 직업훈련, 취업상담
4. 신청방법
■ 신청 절차
① 1차 선별검사
- 아동복지시설에서 경계선지능 의심아동에 대한 1차 선별검사 실시
② 2차 선별검사 지원 신청
- 초기 상담 및 1차 선별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신청
- 아동권리보장원에 2차 선별검사비용 지원 신청
③ 심사 및 선정
- 아동권리보장원에서 신청 서류 심사
- 선정 결과 시·도 및 해당 아동복지시설에 통보
5. 신청기간
■ 연중 상시 신청 가능
- 분기별로 신규 신청 접수
- 서비스 지원기간: 1년
- 필요시 연장 가능
6. 제출서류
■ 필수 제출서류
- 사업신청서
-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 경계선지능아동 1차 선별검사서
- 종합심리검사결과서
- 보호자 동의서
7. 유의사항
■ 서비스 관리
- 아동별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 계획 수립 필수
- 서비스 제공 결과 분기별 보고 필요
- 정기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 실시
■ 비용 관리
- 사례관리비는 보조금 전용카드로 지출
- 현금 지출시 별도 증빙 필요
- 부적절한 사용시 환수 조치 가능
■ 종료 관리
- 서비스 종료시 결과보고서 제출
- 종료 후 사후관리 필요
이 서비스는 경계선지능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자립을 돕는 중요한 지원제도입니다. 대상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을 통해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언어발달지원사업 지원조건, 지원내용, 신청방법, 신청기간, 제출서류, 유의사항
언어발달지원사업이란 감각적 장애를 가진 부모의 자녀들에게 필요한 언어발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이 사업은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돕고 장애 가족의 자체 역량을
infomaster17.tistory.com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급여 장애인보조기기 지원 완벽 가이드 (0) | 2025.01.08 |
---|---|
국가보훈대상자 학습보조비 지원제도 완벽 가이드 (0) | 2025.01.06 |
입양가정위탁아동 심리치료 지원사업 완벽 가이드 (0) | 2025.01.02 |
아동용품구입비 지원 완벽 가이드 - 지원대상부터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0) | 2024.12.31 |
한 눈에 보는 국가유공자 취업지원제도 (0) | 2024.12.29 |